맨위로가기

라우라 바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우라 바시는 1711년 볼로냐에서 태어난 이탈리아의 과학자이자 철학자로, 볼로냐 대학교 교수로 임명된 두 번째 여성이자, 최초의 여성 과학 교수였다. 그녀는 1732년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732년부터 1778년 사망할 때까지 볼로냐 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뉴턴 역학, 실험 물리학, 전기학 등을 연구했다. 바시는 교황 베네딕토 14세의 후원을 받았으며, 볼테르, 벤자민 프랭클린 등 당대의 저명한 과학자들과 교류했다. 그녀는 1778년 사망했으며, 금성의 분화구와 쇄빙선에 그녀의 이름이 붙여지는 등 사후에도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여자 과학자 - 마리아 아녜시
    마리아 가에타나 아녜시는 18세기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미적분학 교과서를 출판하여 유럽에 영향을 미치고 "아녜시의 마녀" 곡선으로 알려졌으며, 아버지 사망 후에는 가난한 이들을 위해 헌신했다.
  • 이탈리아의 여자 과학자 - 파비올라 자노티
    파비올라 자노티는 힉스 보손 발견에 기여하고 CERN 최초의 여성 사무총장을 지낸 이탈리아의 입자 물리학자로서,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아 다수의 상을 받았다.
  • 1778년 사망 - 제임스 하그리브스
    제임스 하그리브스는 18세기 영국의 발명가, 직조공, 목수로서, 여러 개의 실을 동시에 생산하는 다축 방적기인 제니 방적기를 발명하여 영국 산업 혁명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
  • 1778년 사망 - 볼테르
    볼테르는 이성, 자유, 관용을 옹호하며 종교적 불관용과 전제 정치를 비판하고 프랑스 사회 개혁을 촉구한 프랑스의 계몽주의 사상가, 작가, 역사가이다.
  • 볼로냐 대학교 동문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폴란드 출신의 천문학자로서 태양중심설을 제안하여 천문학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저서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를 통해 자신의 이론을 발표했으나 논란을 겪었고, 과학 혁명과 현대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볼로냐 대학교 동문 -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피에를루이지 콜리나는 이탈리아 출신의 전직 축구 심판으로, FIFA 심판 명단에 오른 후 UEFA 챔피언스리그와 FIFA 월드컵 결승전 심판을 맡았으며, IFFHS 세계 최고 심판 상을 6회 수상하는 등 활약하다가 은퇴 후 FIFA 심판 위원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라우라 바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라우라 바시의 초상화
본명라우라 마리아 카테리나 바시
로마자 표기Laura Maria Caterina Bassi
태어난 날1711년 10월 29일
태어난 곳교황령 볼로냐
죽은 날1778년 2월 20일
죽은 곳교황령 볼로냐
분야물리학
철학
수학
소속볼로냐 대학교
출신 대학볼로냐 대학교
후원자프로스페로 로렌초 람베르티니 (교황 베네딕토 14세)
지도 학생라차로 스팔란차니
주요 업적최초의 여성 대학 교수
알려진 업적최초의 여성 급여를 받는 대학교 교수
이탈리아에서 뉴턴 역학의 대중화
배우자주세페 베라티 (1738년 2월 7일 결혼)
학문적 경력
수상

2. 생애

볼로냐 대학교에 있는 라우라 바시의 초상화


라우라 바시는 볼로냐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변호사로 집안은 부유했다. 그녀의 정확한 출생일은 문헌에 따라 1711년 10월 20일에서 29일 사이로 기록되어 있다.[31][32][33] 13세부터 7년간 가정 교사 가에타노 타코니에게서 교육을 받았으며, 사촌이자 로마 가톨릭 신부인 로렌초 스테가니로부터 라틴어프랑스어를 비롯한 학문을 배웠다.[33]

1732년 20세에 푸블리코궁에서 논문을 발표하며 학문 경력을 시작했고,[33] 1738년 2월 7일에는 주세페 베라티와 결혼하여 슬하에 12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5명만이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았다.[32] 바시는 1778년 2월 20일 67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33]

1731년, 19세 때, 스승인 의학 교수가 그녀의 언어 능력과 자연철학에 대한 조예를 알아보고, 그녀의 지식을 선보이는 자리를 마련하여 지역의 일류 학자들을 초대했다. 이때, 람베르티니 추기경(훗날 교황 베네딕토 14세)도 참석하여 감명을 받았다. 1732년, 볼로냐 과학예술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이 되었고, 같은 해 대학과 시의회의 결정에 따라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학위 취득을 위해 발표된 논문의 주제는 49개였으며, 대부분 물리학 관련이었고, 형이상학과 논리학에 관한 것도 있었다. 이때 대학에서 강의할 권리도 얻었지만, 당시에는 교수의 특별 허가가 필수였다.

1735년, 가브리엘레 만프레디 밑에서 수학 연구를 시작했고, 같은 해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바티칸 도서관의 장서와 문서 열람이 허가되었다. 1745년, 교황 베네딕토 14세의 후원으로 과학 아카데미의 정식 회원이 되도록 초청을 받아 특별 회원이자 유일한 여성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대학 강단에 설 기회는 많지 않았다.

1749년, 자택에서 실험 물리학 강의를 개설했고, 강좌는 성황을 이루어 거의 20년간 계속되었다. 1776년, 65세 때 오랜 공로를 인정받아 응용 물리학 정교수직을 부여받았고, 사망할 때까지 2년간 그 직책을 수행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라우라 바시는 볼로냐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변호사였고 집안은 부유하였다. 그녀의 출생일은 정확치 않다. 문헌에 따라 1711년 10월 20일에서 29일 사이로 기록하고 있다.[31][32][33]

13세부터 20세까지 가족 주치의이자 볼로냐 대학교 의학 교수인 가에타노 타코니에게서 철학, 형이상학, 논리학, 자연철학을 배웠다. 타코니는 바시가 데카르트 철학에 관심을 갖기를 바랐지만, 바시는 뉴턴 역학에 더 큰 관심을 보였다.[13] 바시는 사촌인 로마 가톨릭 신부 로렌초 스테가니로부터 라틴어, 프랑스어, 수학을 배웠다.[7]

1732년, 20세가 된 바시는 푸블리코궁에서 논문을 발표하면서 학문 경력을 시작하였다.[33]

2. 2. 결혼과 가정생활

1738년 2월 7일,[32] 라우라 바시는 볼로냐 대학교에서 강의하던 철학 박사이자 의사인 주세페 베라티와 결혼하였다.[33] 바시는 남편과 함께 철학을 연구하였고, 결혼 생활을 하면서 실험 물리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32] 둘 사이에는 12명의 자녀가 있었지만,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자녀는 5명이었다.[32]

자세한 자녀 정보는 다음과 같다.

이름출생-사망비고
조반니1738년 - 1800년산 페트로니오의 정규회원이자 콜레지오 몬탈토의 신학 교수
치로1744년 - 1827년
카테리나1745년 - 1768년수녀
자코모1749년 - 1818년정규회원
파올로1753년 - 1831년과학 연구소의 실험 물리학 교수, 유일하게 후손을 남김
카테리나1739년유아기에 사망
카테리나1742년유아기에 사망
플라미니오1751년유아기에 사망


2. 3. 죽음

바시는 1778년 2월 20일 67세로 사망하였다.[33] 그녀의 건강 악화는 여러 차례의 임신과 출산 합병증 때문이었다. 사인은 ''attacco di petto'' (attacco di petto|가슴의 발작it, 즉 심장마비로 추정됨)로 기록되었다. 장례식은 코르푸스 도미니 성당에서 거행되었으며, 그녀의 머리에는 은 월계관이 놓였고 베네딕타 수녀회 회원들이 조문했다. 그녀는 루이지 갈바니의 묘 앞, 타글리아피에트레 가(Via Tagliapietre)의 교회에 매장되었다.[17]

3. 업적

라우라 바시는 뉴턴 물리학을 주요 연구 주제로 삼아 28년 동안 강의하였다. 그녀는 이탈리아 자연철학계에 뉴턴의 사상을 소개한 핵심 인물 중 한 명이었다. 또한 물리학의 모든 분야를 실험적으로 증명하고자 노력했다. 바시는 뉴턴 물리학과 프랭클린의 전자기학을 강의하려 했으나, 볼로냐 대학교가 이를 정규 과목으로 인정하지 않아 자신의 집에서 개인 강의를 진행했다. 바시는 교수로 재직하면서 물리학과 수리학에 관한 28편의 논문을 썼지만, 책을 출판하지는 않았다. 그녀의 논문 가운데 출판된 것은 4편뿐이다.[31]

1760년대에는 바시와 남편 주세페 베라티가 함께 전자기학 실험을 수행했다. 이들의 실험은 아베 놀레를 비롯한 볼로냐 대학교의 다른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31] 바시는 벤저민 프랭클린과 거의 같은 시기인 1740년대에 전기 실험을 했으며, 프랑스 물리학자 Jean-Antoine Nollet|장-앙투안 놀레프랑스어 및 프랭클린과 편지를 주고받았다.[31] 또한 알레산드로 볼타와도 교류했다.[31]

볼로냐 대학교의 특별 초빙 교수직에 안주하지 않고, 자택에서 뉴턴 역학 등의 강의를 개설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과학 관련 저서는 한 권도 발표하지 않았지만, 40년 이상 자택과 과학 아카데미 양쪽에서 응용물리학, 이론물리학, 화학, 수학 강의를 계속했다.

강의록은 후세에 거의 전해지지 않았지만, 볼로냐 과학 아카데미에 다룬 주제 목록이 남아 있으며, 강의의 3분의 1은 유체 연구에 할애되었다. 에밀리 뒤 샤틀레가 쓴 물리학 교과서를 강의에서 사용했다.

주세페 베라티의 전기 치료에 관한 논문은 유럽 전역에 알려졌고,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 라우라와 남편의 실험은 전기 관련 연구를 발전시켰다.

3. 1. 볼로냐 대학교 교수 임용

1732년 5월 12일 푸블리코궁에서 49개 논제를 발표한 후,[31] 라우라 바시는 철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33] 이는 1678년 엘레나 코르나로 피스코피아가 박사 학위를 받은 이후[34] 두 번째 여성 박사 학위 수여자였다.

박사 학위를 받은 다음 달 바시는 볼로냐 대학의 본관인 아르키지나시오 디 볼로냐에서 12개의 추가 논제를 발표하고 대학 교수로 임명되었다.[33] 1732년 10월 29일 볼로냐 대학교는 바시를 철학 교수로 임명하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받아들였다.[33] 그녀의 첫 강의 주제는 "우주 만물의 근원 원소인 물"(De aqua corpore naturali elemento aliorum corporum parte universila)" 이었다.[32]

라우라 바시의 초상화 (1732)


당시 볼로냐 대학교는 여성이 개인사를 우선시해야 한다는 입장이었기에, 바시는 남성 교수들보다 공개 강의에 제약을 받았다.[10] 1746년에서 1777년 사이에는 연간 한 건의 논문만이 공식적으로 인정될 정도였다.[31] 바시가 남긴 논문은 공저자를 포함하여 31건인데,[33] 이는 바시의 강의가 정규 과목이 아니었고, 1749년부터는 자신의 집에서 개인 교습과 실험을 하였기 때문이다. 바시는 대학의 제약에서 벗어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구하고자 하였다.[31]

바시는 당시 정치적인 상징성을 지닌 인물이었기에 볼로냐 의회는 그녀를 여러 행사에 참여시켰다. 당시 해부학 공개 강연은 외국인과 시의 중요 인사가 참여하는 중요한 행사였고, 바시는 강사 중 한 명으로 초청되었다. 그녀는 1734년 이후 해부학 행사에 연례적으로 입회하였다.[31]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인사가 되자 대학의 급료도 늘어났다. 바시는 연간 1,200 리브르의 급료를 받았고, 늘어난 급료를 새로운 실험기구 구입에 사용하였다.[32]

1772년 실험물리학 교수 파올로 발비가 갑작스레 사망하였다. 발비와 함께 일하던 부교수는 바시의 남편 베라티였지만, 바시는 자신이 그 자리에 오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1776년 65세의 바시는 볼로냐 과학 연구소의 실험 물리학 석좌 교수로 지명되었고 베라티는 그녀의 부교수가 되었다.[31]

3. 2. 강의 및 연구 활동

1732년 5월 12일 푸블리코궁에서 49개 논제를 발표한 후[31] 라우라 바시는 철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33] 박사 학위를 받은 다음 달, 바시는 볼로냐 대학교의 본관인 아르키지나시오 디 볼로냐에서 12개의 추가 논제를 발표하고 대학 교수로 임명되었다.[33] 1732년 10월 29일 볼로냐 대학교는 바시를 철학 교수로 임명하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받아들였다.[33]

그녀의 첫 강의 주제는 "우주 만물의 근원 원소인 물(De aqua corpore naturali elemento aliorum corporum parte universila)" 이었다.[32] 그러나 당시 볼로냐 대학교는 여성은 개인사가 우선이라는 입장이었고, 1746년에서 1777년 연간 한 건의 논문만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31] 바시가 남긴 논문은 공저자인 경우를 합쳐 31건인데,[33] 바시의 강의는 정규 과목이 아니었고, 1749년부터는 자신의 집에서 개인 교습과 실험을 하였기 때문이다. 바시는 대학의 제약에서 벗어나 보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구하고자 하였다.[31]

바시는 당시 정치적인 상징성을 지닌 인물이었고 볼로냐 의회는 그녀를 여러 행사에 참여토록 하였다. 당시 해부학 공개 강연은 여러 외국인과 시의 중요 인사가 두루 참여하는 중요한 행사였고, 바시는 강사 중 한 명으로 초청되었다. 그녀는 1734년 이후 해부학 행사에 연례적으로 입회하였다.[31]

1772년 실험물리학의 석좌 교수였던 파올로 발비가 급작스레 사망하였다. 바시의 남편 베라티였지만, 바시는 자신이 그 자리에 오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1776년 65세의 바시는 볼로냐 과학 연구소의 실험 물리학 석좌 교수로 지명되었고 베라티는 그녀의 부교수가 되었다.[31]

바시의 주요 연구 주제는 뉴턴 물리학이었고, 28년 동안 강의하였다. 그녀는 이탈리아의 자연철학계에 뉴턴의 아이디어를 소개한 중요한 인물 가운데 한 명이었다. 또한 물리학의 모든 분야를 실험적으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바시는 뉴턴 물리학과 프랭클린의 전자기학을 강의하고자 하였으나, 대학교가 이를 정규 과목으로 인정하지 않자 집에 사설 강의실을 열고 개인 강의를 하였다. 바시는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물리학과 수리학에 대한 28편의 논문을 집필하였지만 책을 출판하지는 않았다. 그녀의 논문 가운데 출판 된 것은 4편에 불과하다.[31]

바시는 벤저민 프랭클린과 거의 동시대인 1740년대에 전기에 관한 실험을 실시했으며, 프랑스의 물리학자 장-앙투안 놀레와 프랭클린과 서신을 교환했다.[31] 또한 알레산드로 볼타와도 교류가 있었다.[31]

3. 3. 실험 물리학 연구

바시는 주세페 베라티와 결혼한 뒤 집에서 개인 강의를 하였다. 1760년대 동안 바시와 그녀의 남편은 전자기학에 대한 실험을 함께 진행하였다. 이들의 실험은 아베 놀레를 비롯한 볼로냐 대학교의 다른 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31]

바시의 주요 연구 주제는 뉴턴 물리학이었고, 28년 동안 강의하였다. 그녀는 이탈리아의 자연철학계에 뉴턴의 아이디어를 소개한 중요한 인물 가운데 한 명이었다. 또한 물리학의 모든 분야를 실험적으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바시는 뉴턴 물리학과 플랭클린의 전자기학을 강의하고자 하였으나, 대학교가 이를 정규 과목으로 인정하지 않자 집에 사설 강의실을 열고 개인 강의를 하였다. 바시는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물리학과 수리학에 대한 28편의 논문을 집필하였지만 책을 출판하지는 않았다. 그녀의 논문 가운데 출판된 것은 4편에 불과하다.[31]

바시는 실험에 대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는데, 1755년 7월 16일 플라미니오 스카르셀리에게 보낸 편지에서 "제 물리 실험에 관해서는, 지속적인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가 실험을 발전시키고 완성하려면 어떤 형태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저는 거의 절망에 빠져 있습니다."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당시 그녀와 도메니코 갈레아찌는 대학에서 가장 높은 봉급(1200L)을 받았다.[10]

볼로냐 대학교의 ‘특별 초빙’ 교수직에 안주하지 않고, 자택에서 강의를 개설하여 뉴턴 역학 등의 강의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과학 관련 저서는 한 권도 발표하지 않았지만, 교사로서 매우 바쁜 생활을 했다. 자택과 과학 아카데미 양쪽에서 40년 이상 응용물리학, 이론물리학, 화학, 수학 강의를 계속했다.

강의록은 후세에 거의 전해지지 않았다. 볼로냐 과학 아카데미에 다룬 주제 목록이 남아 있으며, 강의의 3분의 1은 유체 연구에 할애되었다. 에밀리 뒤 샤틀레가 쓴 물리학 교과서를 강의에서 사용했다.

강의와 함께 연구실에서 다양한 실험을 실시했다. 특히 전기 실험에 관한 연구에 착수하여 전기의 치료 효과에 주목하여 남편의 연구에 기여했다. 남편 주세페의 전기 치료에 관한 논문은 유럽 전역에 알려졌고,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 라우라와 남편의 실험은 전기 관련 연구를 발전시켰다.

라우라는 벤저민 프랭클린과 거의 동시대인 1740년대에 전기에 관한 실험을 실시했으며, 프랑스의 물리학자 Jean-Antoine Nollet|장-앙투안 놀레프랑스어 (1700-1770)과 프랭클린과 서신을 교환했다. 또한 알레산드로 볼타와도 교류가 있었다.

4. 영향

라우라 바시는 당대에 학문 및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고, 여러 과학자들과 교류하며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바시의 주요 후원자로, 바시가 학문을 계속하도록 지원하고 볼로냐 대학교 내 차별에서 보호했다.[31] 1745년 교황이 된 베네딕토 14세는 베네딕티니를 설립하여 바시를 유일한 여성 회원으로 임명했다.[33] 바시는 볼테르, 체사레 베카리아, 프란체스코 알가로티 등과 서신을 교환했으며, 볼테르는 바시를 칭송하는 글을 남겼다.[31]

4. 1. 학문적, 사회적 영향

1732년 팔라초 다쿠르시오에서 이루어진 바시의 첫 강의는 학계를 넘어 볼로냐 사회 각계에 큰 사건이었다.[31] 곤팔로니에레(중세에서 르네상스 시기 교황령의 도시를 관장한 행정 장관)와 의원, 판사들 뿐만 아니라 볼로냐의 모든 여성 귀족들이 바시의 강의를 참관하였다.[31]

바시의 가장 중요한 후원자 가운데 한 명이자 훗날 교황 베네딕토 14세가 되었던 프로스페로 람베르티니 추기경은 그녀가 학문을 계속할 수 있도록 후원하는 한편, 바시를 차별하던 볼로냐 대학교의 다른 교수들에게서도 그녀를 보호하였다.[31]

1745년 교황이 된 베네딕토 14세는 25명의 학자들로 자신의 이름을 딴 자문 그룹인 베네딕티니를 세웠고, 바시의 입회를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회원 가운데 반대가 있었음에도 바시는 베네딕티니의 유일한 여성 회원이 되었다.[33]

바시의 논문은 현존하는 것이 많지 않지만, 볼테르, 체사레 베카리아, 프란체스코 알가로티, 루저 보스코비치, 샤를 보네, 아베 놀레, 파올로 프리시, 라차로 스팔란차니, 알레산드로 볼타 등과 서신을 교류하면서 과학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볼테르는 "런던에는 바시가 없고, 영국이 뉴턴을 배출했다고 하더라도 나는 볼로냐의 학회가 그보다 더 훌륭하다고 말하련다"고 적었다.[31] 프란체스코 알가로티는 여러 차례 바시를 칭송하는 시를 썼다.[31]

4. 2. 교황 베네딕토 14세의 후원

훗날 교황 베네딕토 14세가 된 프로스페로 람베르티니 추기경은 바시의 가장 중요한 후원자였다. 그는 바시가 학문을 계속할 수 있도록 후원하는 한편, 바시를 차별하던 볼로냐 대학교의 다른 교수들에게서도 그녀를 보호하였다.[31]

1745년 교황이 된 베네딕토 14세는 25명의 학자들로 자신의 이름을 딴 자문 그룹인 베네딕티니를 세우면서 바시의 입회를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회원 가운데 반대가 있었음에도 바시는 베네딕티니의 유일한 여성 회원이 되었다.[33]

4. 3. 과학자들과의 교류

바시는 볼테르, 체사레 베카리아, 프란체스코 알가로티, 루저 보스코비치, 샤를 보네, 장-앙투안 놀레(아베 놀레), 파올로 프리시, 라차로 스팔란차니, 알레산드로 볼타 등과 서신을 교류하며 과학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31] 볼테르는 "런던에는 바시가 없고, 영국이 뉴턴을 배출했다고 하더라도 나는 볼로냐의 학회가 그보다 더 훌륭하다고 말하련다"고 적었다.[31] 프란체스코 알가로티는 여러 차례 바시를 칭송하는 시를 썼다.[31]

바시는 벤저민 프랭클린과 거의 동시대인 1740년대에 전기에 관한 실험을 실시했으며, 프랑스의 물리학자 장-앙투안 놀레와 프랭클린과 서신을 교환했다. 또한 알레산드로 볼타와도 교류가 있었다.

5. 수상 및 기념

라우라 바시는 생전에 여러 학술 단체의 회원으로 활동했고, 사후에는 그녀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물과 메달이 제작되었으며, 금성에는 그녀의 이름을 딴 크레이터가 있다. 또한 그녀는 고전 문학뿐만 아니라 프랑스와 이탈리아 문학에도 정통했다.[13]

5. 1. 수상

바시가 박사 학위를 받은 뒤 화가 도메니코 마리아 프라타와 조각가 안토니오 라짜리는 청동 기념 메달을 제작하였다. 메달 앞면에는 바시의 모습을 새겼고, 뒷면에는 "당신만이 미네르바를 볼 수 있으니"(Soli cui fas vidisse Minervala)라는 문구를 새겼다.[32]

바시가 사망한 후 볼로냐 자연 연구소에는 기념 대리석상이 세워졌다.[31]

금성에는 바시의 이름을 딴 직경 31km 크레이터가 있다.[36]

바시는 여러 문학 단체의 회원이었고 유럽의 저명한 문필가들과 서신 왕래를 하였다. 바시가 회원으로 있던 학회는 다음과 같다.[17]

학회 이름가입 년도
볼로냐 과학원(Accademia delle Scienze dell'Instituto di Bologna)1732년
모데나 디소난티 아카데미(Accademia dei Dissonanti di Modena)1732년
피렌체 아파스티티 대학(Universitá degli Apastiti, Firenze)1732년
로마 아르카디 아카데미(Accademia degli Arcadi di Roma)1737년
모데나 피날레 플루투안티 아카데미(Accademia dei Fluttuanti di Finale di Modena)1745년
레조 에밀리아 이포콘드리아치 아카데미(Accademia degli Ipocondriaci di Reggio Emilia)1750년
볼로냐 아르덴티 아카데미(Accademia degli Ardenti di Bologna)1752년
로베레토 아지아티 아카데미(Accademia degli Agiati di Rovereto)1754년
부세토 에모니아 아카데미(Accademia dell'Emonia di Busseto)1754년
페르모 에란티 아카데미(Accademia degli Erranti di Fermo)1755년
코르토나 식물학 애호가 아카데미(Accademia degli amanti della Botenica di Cortona)1758년
폴리뇨 풀기니아 아카데미(Accademia Fulginia di Foligno)1760년, 1761년
코레조 테오프네우스티 아카데미(Accademia dei Teopneusti di Correggio)1763년
레카나티 플라치디 아카데미(Accademia dei Placidi di Recanati)1774년


5. 2. 사후 기념

바시가 박사 학위를 수여받은 뒤 화가인 도메니코 마리아 프라타와 조각가인 안토니오 라짜리는 청동 기념 메달을 제작하였다. 메달 앞면에는 바시의 모습을 새겼고, 뒷면에는 "당신만이 미네르바를 볼 수 있으니"(Soli cui fas vidisse Minervala)라는 문구를 새겼다.[32][10]

바시가 사망한 후 볼로냐 자연 연구소에는 기념 대리석상이 세워졌다.[31][18]

금성의 직경 31 km 크레이터에 바시의 이름이 붙었다.[36][22]

볼로냐에는 고등학교와 비아 라우라 바시 베라티(Via Laura Bassi Veratti)라는 이름의 시가지 거리가 있다.[23]

에디팅 프레스(The Editing Press)는 2018년부터 젊은 학자, 석사 및 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1년에 세 차례 라우라 바시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다.[24]

영국 남극조사단의 쇄빙선 연구선 RRS ''어니스트 섀클턴''호는 2019년 5월 9일 이탈리아 국립해양학 및 실험지구물리학 연구소(Istituto Nazionale di Oceanografia e di Geofisica Sperimentale)에 인수되어 ''라우라 바시''호로 개명되었다.[25] 2024년, 이 배는 이탈리아 국립남극연구 프로그램(Programma Nazionale di Ricerche in Antartide, PNRA)의 특별한 위상을 지닌 국제 공동 연구의 일환으로 뉴질랜드 연구원 12명을 처음으로 수용했다.[26]

2021년 4월 17일, 구글은 바시와 그녀의 많은 업적을 기념하는 두들을 선보였다.[27][28]

6. 출판물

라우라 바시가 출판한 논문은 4편이다.[31] 출판되지 않은 논문을 포함한 주요 논문은 아래와 같다.


  • ''Sopra la compressione dell'aria'' (1746) 〈공기의 이해에 대해〉
  • ''Sopra le bollicelle che si osservano nei fluidi'' (1747 e 1748) 〈유체를 관찰하기 위한 통에 대해〉
  • ''Sopra l'uscita dell'acqua dai fori di un vaso'' (1753 e 1754) 〈병에서 흘러 나오는 물에 대해〉
  • ''Sopra alcune esperienze d'elettricità'' (1761) 〈전하를 띈 물체의 실험에 대해〉
  • ''Prodromo di una serie di esperienze da fare per perfezionare l'arte della tentura'' (1769) 〈작용하는 힘에 해당하는 연결된 물체의 처리〉
  • ''Sopra l'elettricità vindice''(1771) 〈전기 증명에 대해〉
  • ''Sopra il fuoco e la facilità dei vari fluidi di riceverlo'' (1775) 〈화로와 그 위에 놓인 다양한 유체의 성질에 대해〉
  • ''Su la relazione della fiamma all'aria fissa'' (1776) 〈바람에 흩날리는 깃발에 관하여〉
  • ''Sopra la proprietà che hanno molti corpi, che ritenendo più degli altri il calore, ritengono più degli altri ancora l'elettricità'' (1777) 〈연례 해부 보고 및 열에 대한 금박의 반응, 전기를 띈 닻의 반응에 대해〉
  • ''De aëris compressione'' 〈공기 이해〉
  • ''De problemate quodam idrometrico'' 〈비중 문제〉
  • ''De problemate quodam mecanico''〈기계 문제〉
  • ''De immixto fluidis aëre'' 〈혼입되어 흐르는 공기〉
  • ''De Bononiensi Scientiarum et Artium Instituto atque Academia Commentarii'', Bononiae, L. a Vulpe, 1731-1791 〈볼로냐의 과학 기술 연구소의 학문 보고〉


행정 업무, 가족 문제, 그리고 잦은 산후 질병으로 인해 바시는 볼로냐 대학교에 기여한 업적의 일부만을 반영하는 소수의 저술만을 출판했다.[15] 그녀의 과학적 업적은 1852년에 출판된 도메니코 피아니(Domenico Piani)의 논문 "Catalogo dei Lavori dell'Antica Accademia, raccolti sotto i singoli autori"에서 가장 잘 요약되어 있다.[10]

바시가 ''볼로냐 과학 예술 연구소 및 학회 논문집''(De Bononiensi Scientiarum et Artium Instituto atque Academia Commentarii)에 게재한 논문은 다음과 같다.[29]

  • ''De aeris compressione'' (''기압에 관하여'', 1745년)
  • ''De problemate quodam hydrometrico'' (''수리학의 특정 문제에 관하여'', 1757년)
  • ''De problemate quodam mechanico'' (''역학의 특정 문제에 관하여'', 1757년)
  • ''De immixto fluidis aere'' (''혼합된 기체 유체에 관하여'', 1792년 사후 출판)


1732년에 출판된 ''우주의 다른 부분들의 자연 요소로서의 물의 본질에 관하여''(De acqua corpore naturali elemento aliorum corporum parte universi)는 대학 임용을 위한 논문 모음이다.

참조

[1] 논문 Science as a career in Enlightenment Italy: The strategies of Laura Bassi https://www.journals[...] 1993
[2] 서적 Famous Women in Science in Laura Bassi's Epoch http://link.springer[...]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20-05-22
[3] 웹사이트 Laura Bassi http://www.encyclope[...]
[4] 웹사이트 Bassi Verati (Veratti), Laura Maria Caterina https://www.encyclop[...] 2020-05-20
[5] 웹사이트 Laura Bassi (1711–1778) http://mathshistory.[...] 2020-05-20
[6] 웹사이트 Laura Bassi Italian scientist https://www.britanni[...] 2020-05-20
[7] 웹사이트 Laura Bassi Facts https://biography.yo[...] 2020-05-20
[8] 웹사이트 Laura Bassi – University of Bologna https://www.unibo.it[...] 2020-05-20
[9] 서적 Laura Bassi: Her Education and Her Marriage http://link.springer[...]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3
[10] 논문 "In lode della filosofessa di Bologna": An Introduction to Laura Bassi https://www.journals[...] 1991
[11] 서적 A Cyclopaedia of Female Biography https://en.wikisourc[...] Groombridge and Sons 1857
[12] 뉴스 Laura Bassi: Paving the Way for Female Academics http://www.italoamer[...] 2018-01-30
[13] 논문 Women and the Practice and Teaching of Medicine in Bologna in th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ies http://muse.jhu.edu/[...] 2003
[14] 웹사이트 Laura Bassi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15] 웹사이트 Wome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https://www.encyclop[...] 2020-05-20
[16] 웹사이트 Laura Bassi and the city of learning https://physicsworld[...] 2020-05-20
[17] 서적 Laura Bassi and Science in 18th Century Europe http://link.springer[...]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3
[18] 논문 Science as a career in Enlightenment Italy: The strategies of Laura Bassi https://www.journals[...] 1993
[19] 논문 Science as a Career in Enlightenment Italy : The Strategies of Laura Bassi 1993
[20] 서적 Repertorio di tutti i professori antichi, e moderni della famosa Università, e del celebre Istituto delle Scienze di Bologna https://books.google[...] Tip. di San Tommaso d'Aquino 1847
[21] 서적 Laura Bassi and Science in 18th Century Europe: The Extraordinary Life and Role of Italy's Pioneering Female Professo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10-28
[22] 웹사이트 Venus Crater Database https://www.lpi.usra[...] 2020-05-22
[23] 웹사이트 Laura Bassi – scientist https://www.italyont[...] 2020-05-22
[24] 웹사이트 Editing Press Editorial Funding Laura Bassi Scholarship https://editing.pres[...] 2020-05-22
[25] 웹사이트 Italian Icebreaker named in honor of Laura Bassi http://www.waponline[...] 2020-05-22
[26] 웹사이트 Antarctica: The Laura Bassi ship has closed its summer research campaign https://www.media.en[...] 2024-04-04
[27] 웹사이트 Celebrating Laura Bassi https://doodles.goog[...] 2021-04-17
[28] Youtube Laura Bassi Google Doodle | Short biography of first female university professor https://www.youtube.[...] 2021-04-16
[29] 논문 Laura Bassi and Giuseppe Veratti: an electric couple during the Enlightenment https://www.raco.cat[...] 2009
[30] 웹사이트 Laura Bassi (1711-78) http://broughttolife[...] Science Museum 2019-09-24
[31] 논문 Science As A Career In Enlightenment Italy : The Strategies Of Laura Bassi 1993
[32] 논문 'In lode della filosofessa di Bologna': An Introduction to Laura Bassi 1991
[33] 논문 Women and the Practice and Teaching of Medicine in Bologna in th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ies 2013-06-03
[34] 서적 Schools, Seminaries, and Catechetical Instruction, in Catholicism in Early Modern History 1500-1700: A Guide to Research Center for Information Research 1988
[35] 서적 Laura Bassi and Science in 18th Century Europe: The Extraordinary Life and Role of Italy's Pioneering Female Professo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10-28
[36] 웹사이트 Bassi https://www.lpi.us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